금융6 HUG 전세보증보험 반환을 위해 알아야할 모든것 1편 (전세사기 피해 예방) 전세사기가 극성을 부리기 시작한 작년 이후 전세금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에 대해 검색하고 전세사기를 걱정하여 모인 오픈카톡방에도 가입해 정보를 얻기 시작하여 최대한 많은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저 또한 전세를 살고있고 집주인의 불명확한 보증금 반환에 대한 대답때문에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해당 내용을 찾기 위해 검색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명확한 정보를 전달해 주고싶어 글을 작성하기 시작하였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전세 계약이 끝나가는 시점에 해야할 일 전세 연장의 의지가 없다는것을 명확히 하고 답장 받기 제일 먼저 해야할일은 전세연장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를 명확히 전달하고 그에대한 답변을 받는것입니다. 전세보증보험 반환과 임차권 등기시에도 꼭 필요한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꼭 명심.. 2024. 3. 24. 전세 계약 갱신에 필요한 지식 총정리 전세 연장 및 재계약을 하기 위해 정리한 내용을 총정리하여 알기 쉽게 전달해 드리기 위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현재 전세로 살고 있는 제 상황에 재계약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일지 고민이 되어 알아보았고 전세 계약 관련한 지식을 하나도 몰랐지만 찾아보면서 기본적인 부분들을 참고하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세 연장의 세가지 방법 전세 연장에는 묵시적 갱신, 계약 갱신 청구권, 합의 갱신 세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묵시적 갱신은 만기 2개월전까지 세입자와 집주인이 아무말 없이 지나간다면 서로 묵시적으로 동일한 조건으로 계약이 갱신이 되는 방식입니다. 제가 알아보았을때 이는 보통 세입자가 유리하다고 알고있지만 경우에 따라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방식입니다. 자세한 내용.. 2023. 12. 11. 이전 1 2 다음